기후솔루션의 최근 보고서는 한국 10대 배출 기업이 기후위기로 인한 폭염 피해에 얼마나 큰 책임을 지고 있는지를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분석에 따르면, 이들 기업은 과거 온실가스 배출로 인해 이미 약 161조 원의 폭염 손실 기여액을 부담해야 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별도의 기후 대응 조치 없이 현행 정책이 유지될 경우 그 부담 규모는 2050년까지 약 720조 원으로 두 배 이상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반면 정부의 탄소중립 계획을 충실히 이행한다면 손실 기여액은 300조 원 수준으로 억제될 수 있다고 합니다. 이는 곧 탄소 감축 이행 여부가 기업의 재무 건전성과 지속가능성에 직결되는 문제임을 시사합니다.
기후위기가 기업에 미치는 압력은 크게 물리적 리스크와 전환 리스크로 나눌 수 있습니다. 물리적 리스크는 폭염, 홍수, 해수면 상승 등 이상 기후로 인한 공급망 붕괴, 생산시설 손상, 물류 차질 등으로 나타납니다. 이는 단기간에 막대한 재무적 손실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전환 리스크는 탄소가격제 도입, 무역 규제 강화, 투자 위축, 그리고 사회적 평판 악화로 이어집니다. 이러한 리스크는 기업 경영 전반에 깊숙이 스며들고 있습니다. 온실가스 배출 증가와 자원 고갈은 기업 운영 비용을 가중시키고, 자연재해는 생산 차질과 공급망 불안을 유발합니다. 동시에 강화되는 정부 규제와 친환경 제품을 선호하는 소비자 요구는 기업들에게 대규모 전환 투자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기후위기는 동시에 새로운 기회의 문을 열고 있습니다. 탄소포집·활용·저장(CCUS), 수소, 재생에너지, 친환경 제품과 같은 신산업은 기업들에게 새로운 성장 시장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후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기업은 투자자, 소비자, 정부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아 브랜드 가치와 기업 가치를 높일 수 있습니다. 환경 규제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기술 혁신과 효율성 제고는 비용 절감 효과를 가져오며, 이는 곧 경쟁력 강화로 이어질 것입니다.